작성일 : 13-06-13 10:38
창조경제와 출판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613031013 [398]
창조경제의 정확한 의미를 두고 논의가 분분하다. 10여년 전 같은 제목의 저서에서 창조경제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존 호킨스는 “삶의 가치를 높이는 창조적 지식상품과 서비스와의 거래가 곧 창조경제”라고 했다. 지금의 논란이 머쓱할 만큼 애초의 정의는 오히려 명확하고 반듯하다. 그러나 실제 문화산업 현장에서는 언급된 그대로의 단답형 답을 찾기가 쉽지 않다. 어쩌면 창의성을 발휘해 단답형이 아닌, 각자의 영역과 시각에서 주관식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 그 자체가 창조이지 싶다.

다양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출판이 그 중심이라는 것이다. 출판은 영상과 게임, 소프트웨어 등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문화콘텐츠산업 가치사슬 구조의 원점에 위치한다. 또한 지식이 부와 경쟁력을 창출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그 원천이기도 하며, 하나의 이야기가 수많은 일자리와 소득·수출·국가 브랜드를 제고하는 스토리노믹스를 견인하는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호킨스도 그래서 출판을 창조산업 가운데 연구개발 다음으로 비중 있는 부분이라고 평가하지 않았는가.

6월 현재 우수 출판기획안 공모를 비롯해 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올해 여러 출판 지원 사업들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지난 두 달간 접수된 우수 출판기획안만 1700편이 훌쩍 넘었다. 지난해에 비해 세 배 가까이 늘어난 응모편수만큼 좋은 기획안과 원고를 선정하기 위해 심사과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책으로 발간되기 전의 기획안이거나 원고 상태의 콘텐츠라 아이디어 유출을 막고자 방문접수와 현장심사를 원칙으로 하였다. 심사위원 역시 과거 특정분야 전문가로만 한정하던 것을 출판평론가는 물론 한류 혹은 앱북 전문가, 시나리오 작가 등 각기 다른 심사위원을 사업별, 심사 차수별로 다르게 위촉했다.

내용의 완성도를 일차적으로 평가한 후 대상작을 가리는 심사는 공정성과 엄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당사자가 직접 심사위원들 앞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하도록 계획했다. 제한된 서류나 문자로는 알기 어려운 저자와 기획자의 마음을 더 정확하게 읽고 싶었고, 더불어 미래 독자 입장에서 심사를 떠나 보완했으면 하는 부분들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실행력과 자본력이 뒷받침되는 대형 출판사들의 기획안이 우선 선정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는 걱정에 그쳤다. 오히려 이들의 경우 지나치게 무난한 주제와 내용이어서 크게 눈에 띄지 않았다. 대신 산뜻한 참신성을 보여준 작은 출판사들과 저자가 돋보였다. 지난해 유기농을 다룬 기획은 좋았으나 전체적인 구성이 다소 미흡해 아깝게 떨어졌던 강원도 화천의 농사꾼 저자가 올해 재도전해 1인 출판사 지원 사업에서 선정되기도 했다. 이처럼 시장성과 더불어 내용의 진정성, 독창성을 가진 우수한 출판콘텐츠가 앞으로도 계속 발굴될 것이다.

좋은 콘텐츠가 나와야 출판이 살아나고, 출판이 살아야 문화콘텐츠 분야 간에 창의적 융합이 이루어진다. 그래야 창조경제가 가능하다. 출판이 그 중심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파이팅이다. 대한민국의 모든 출판인, 또는 예비출판인들이 창의력을 발휘해 줄 것을 기대한다. (민경미 출판문화산업진흥원 콘텐츠진흥팀장)

- 서울신문 2013.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