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4-04-09 16:22
<현장에서 - 정진영> ‘문학 한류’ 가능성과 조건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40409000210 [363]
“Do you know PSY?” 이는 한국인이 외국에 가든, 해외스타가 한국에 오든 꺼내놓는 단골질문이다. 아마 대중문화의 우수성을 앞세워 한국이 꽤 괜찮은 나라임을 확인받고 싶은 바람일 것이다. 대한민국 ‘스토리의 보고(寶庫)’ 문학은 어떤가. 유진룡 문체부 장관은 지난8일 2014 런던도서전에서 “한국 문학은 한류의 핵심기반”이라고 했다. 이 국제행사의 주빈국 대표였던 유 장관의 말속엔 ‘문학한류’도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이 담겨있다.

주빈국 답게 한국은 출판사 10곳, 전자출판업체 7곳 등이 참여해 전시장 한복판에 516㎡ 규모의 부스를 마련했다. 주빈국 행사에는 잭스 토머스 런던도서전 조직위원장, 헬렌 그랜트 영국 문화부 차관, 리처드 몰렛 영국 출판협회장 등 다수의 현지 고위 출판 관계자들이 참석해 달라진 한국의 위상을 보여줬다. 김갑수 주영한국문화원장은 “한국산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은 영국에서 선망의 대상”이라며 “한국에 대해 첨단 이미지를 갖는 현지인들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싸이의 인기로 대변되는 한류 열풍, 한국산 스마트폰의 인기 등 때문에 “그럼 문학도…”라는 기대감이 들지만 런던에 간 우리 작가들의 ‘문학한류’의 온도는 미지근했다. 영국 최고서점 중 하나인 워터스톤스 트라팔가 광장점 지하 ‘아시아(Asia)’와 ‘극동(Far East)’ 코너에 중국, 일본 책은 많아도 한국 관련 도서는 별로 없었던 점을 잘 아는 그들이다. ‘문학 한류’의 길은 정책결정자, 작가, 글로벌 마케팅에 나서는 출판인, 문화예술인과 경제인 등의 노력이 입체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한강 작가는 문화적 이질감을 융해시킬 번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무엇보다 작가가 좋은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출판계와 정부는 각각 우물안, 탁상앞에 머무르지 않고 지구촌 마케팅에 나서야 하며, 작가들은 글 쓰는 일 외에도 한류 주역인 대중문화인, 글로벌 첨단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경제인 등과 ‘창의적 콜라보레이션’도 적극 도모할 필요가 있다.

작금의 순풍과 기대감은 일희일비할 소재가 아니다. 콘텐츠에 자신감이 있고, 다방면에서 한류 생태계가 조성돼 있다면, ‘전략적 실천’은 마중물 만큼 중요하다는 점을 런던도서전은 일깨우고 있다.



정진영 라이프스타일부 123@heraldcorp.com


- 헤럴드경제 201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