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8-02-19 13:06
[씨줄날줄] 日 동네 책방 실험/황성기 논설위원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215027002&wlog_tag3=n… [231]

동네 책방이 전성시대를 맞고 있다는 보도(서울신문 2018년 2월 9일자 28면)를 읽고, 내가 사는 동네에도 조그만 책방이 있을까 찾았더니 진짜 있다. 몰랐을 뿐 지하철역에서 그리 멀지 않지만,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웅크리고 있었다. 어느 날 소리 소문 없이 골목에 들어선 책방이 대형 서점과는 다른 생존의 길을 걷고 있다는 보도처럼 우리 동네 책방도 비슷했다. 잘 팔리는 실용서나 학습서, 베스트셀러가 아닌 책방 주인의 취향을 고집한 책들을 늘어놓고 손님을 맞는다. “돈을 주고 책을 사는 행위보다는 책을 볼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신경 썼다”는 책방 주인의 말은 도발적으로 들린다.

일본에서 지방자치단체가 직영하는 동네 책방이 기대반 우려반 속에 성공을 거두고 있다. 아오모리현 하치노헤(八戶)시는 2016년 12월 ‘하치노헤 북센터’를 개점했다. 책 읽는 사람을 늘리고, 글 쓰는 사람을 늘려, 책으로 동네를 활기차게 만든다는 취지의 시장 공약 사항을 실천에 옮긴 것이다. 인구 23만명의 중소도시에 시가 손수 운영하는 서점이라니, 한 해 6000만엔의 비용이 들어가 세금 낭비가 아니냐며 반발도 있었다. 하지만 개점 1년의 결과는 놀랍다.

1년간(개관 312일 기준) 서점을 찾은 사람은 16만 7576명, 하루 537명꼴로 방문했다. 판매한 책은 총 9998권, 하루 32권꼴이었으며 총매출은 1480만엔이었다. 북센터가 애초 예상했던 숫자는 하루 방문객 300명, 책 판매 30권이었으니 출발은 좋다. 하지만 숫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 서점을 거점 삼아 독서 모임, 책을 테마로 한 토크쇼, 집필·출판 워크숍 등을 열면서 시의 문화공간으로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 135명의 ‘시민 작가’가 등록해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해외 문학, 인문사회과학, 예술 서적이 진열대의 주류를 이루는 점도 특색이다. 잘 팔리는 책으로 이익을 올려야 하는 일반 서점과 충돌하지 않으면서 차별화도 꾀한 것이다. 동네에서 생산한 수제 맥주, 와인도 책방에서 사서 마실 수 있다는 점도 재밌다.

1999년 2만 2296개의 서점이 있었던 일본이지만 2017년 통계로는 44%나 줄어든 1만 2526개가 됐다. 우리의 1559개와 비교하면 인구 비례로 따져도 여전히 많은 숫자인데 인터넷 영향으로 책에서 멀어지는 경향은 여느 나라와 다르지 않다. 서울 마포구가 책거리를 운영해 화제가 됐다. 그러나 지자체가 서점 운영에 직접 나섰다는 얘기는 들어 보지 못했다. 공공서비스 개념의 확장을 동네 책방으로 시도해 볼 때가 왔다. 한국 지자체의 견학을 환영한다는 하치노헤시다.



- 서울신문. 황성기 논설위원. 2018.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