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2-12-12 16:20
“남에겐 고물, 나에겐 보물… 날마다 ‘천국’에 주파수 맞추죠” 라디오 수집광 김호준씨
작은북을 두드리며 음악을 사랑했던 소년은 전파상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소리에 한참 동안 발걸음을 떼지 못했다. 어느새 청년이 된 그는 형편이 어려웠지만 안정적인 교사생활을 그만뒀다. 그러곤 음악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떠났다. 외로운 유학생이 된 그는 길거리 벼룩시장에서 ‘Arirang(아리랑)’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라디오를 만났다. 동병상련의 감정이 느껴졌다. 이국땅에서 같은 처지의 ‘친구’를 만난 그는 운명처럼 라디오에 빠져들었다.

지난 7일 라디오 수집가이자 경남 창원시청소년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인 김호준(50) 씨가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양덕동 3·15아트센터에서 ‘라디오의 습격(11월 28일~12월 9일)’이라는 주제로 자신의 라디오 소장품들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가 그를 만났다. 그는 전시실에 있는 애장품 200여 점과 함께 환한 미소로 기자를 맞았다.

김 씨는 20년 동안 마음에 드는 라디오가 있으면 모두 사서 모아 왔다. 정확히 몇 개나 소장하고 있는지 그 자신도 모른다. “국내에는 옛날 라디오가 거의 없어 대부분 미국 유학 시절 모은 겁니다. 귀국 후에도 틈틈이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라디오를 수집했는데 어림잡아 1000개는 넘을 것 같은데 워낙 많아 세어 보지 못했어요.”

김 씨가 소장하고 있는 라디오는 1920년대 제작된 세탁기 크기만 한 진공관 라디오부터 1970년대 트랜지스터 라디오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그렇다 보니 그가 생활하는 반경 2~3m 안은 라디오로 넘쳐난다. 집과 오케스트라연습실, 오피스텔, 창고뿐만 아니라 승용차 안까지 손만 뻗으면 라디오가 잡힌다.

그는 어려서부터 음악에 관심이 많았다. 초등학교 때 리듬합주부에 들어가 작은북을 쳤고 고등학교 때에는 브라스밴드에서 활동했다. 그때 진로를 음악대학 작곡과로 정한 김 씨는 자연스럽게 오디오에 끌렸다. 오디오를 직접 구입하기가 쉽지 않았던 어린 시절엔 마산 창동에 있는 전파상에서 음악이 흘러나오면 오랫동안 그 앞에서 멈춰 서 있곤 했다.

관심이 오디오에서 라디오로 옮아간 것은 1993년 외로운 미국 유학시절 있었던 국산 ‘아리랑 라디오’와의 운명적 만남 때문이다. “당시 타국 문화에 적응하지 못해 아주 힘들어 하고 있었는데, 이 라디오를 만난 순간 친구를 만난 듯 마음이 편했어요. 한국에서도 잘 볼 수 없었는데 여기에 와서 같은 처지에 있는 라디오를 만나 얼마나 기뻤는지 몰라요.”

김 씨는 1달러를 주고 1970년대 제작된 이 아리랑 라디오를 구입했다. 아직도 가죽 케이스에 배터리를 고무줄로 묶은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는 이 라디오는 그가 처음으로 소장한 라디오이자 가장 아끼는 애장품이다.

“아리랑 라디오를 미국에서 만날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근무한 미군들이 기념품으로 가져왔거나 사용하던 것을 갖고 귀국해 창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은퇴한 뒤 돌아가실 나이가 돼 정리하다 나온 것 같아요. 그게 우연히 제 눈에 띄어 이국땅에서 인연을 맺은 거죠.”

이후 한국산 라디오가 보이면 모두 사겠다고 마음먹고 라디오 수집에 나서 지금까지 1000점이 넘는 소장품을 갖게 됐다. 유학시절 이웃집에 라디오 수집 마니아가 살았던 덕에 그의 도움도 많이 받았다. 라디오 수집에 있어 넓은 네트워크를 갖고 있었던 이웃이 어디에서 라디오를 구할 수 있는지 친절하게 알려줘 신기한 라디오들을 많이 수집할 수 있었다. 그는 1997년 귀국하기 전까지 국내 아파트 판 돈을 모두 라디오 구입에 썼을 정도로 수집에 몰두했다.

“젊고 철이 덜 들어서 그랬던지 한국에 돌아가 돈을 벌면 집은 10채, 아니 100채를 살 수 있겠지만 이런 라디오는 아무리 돈이 많아도 구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있는 돈을 모두 털어 좋은 라디오가 보이면 마구 사들였어요.”

김 씨는 병 주둥이 부분을 돌려서 켜고 바닥 부분을 조절해 주파수를 맞추는 케첩병 모양의 라디오, 꼬리를 돌리면 켜지는 돼지 라디오, 오른쪽 젖꼭지를 돌려서 전원을 켜고 왼쪽 젖꼭지를 돌려 주파수를 맞추는 ‘19금’ 여자인형 라디오 등 독특한 모양의 라디오를 많이 소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에머슨사가 1934년 제작한 당시 최고급 라디오도 갖고 있는데, 노트북 크기의 상자 모양으로 생긴 이 라디오는 문을 열어야 전원이 들어온다. 문에는 직접 손으로 그린 그림(핸드페인팅)이 그려져 있고 가운데 스피커에는 한자 ‘亞(버금 아)’자가 장식돼 있다.

“미국에서 최고의 라디오 회사 중 한 곳인 에머슨에서 자신들의 최고 제품에 ‘버금 아’자를 장식한 것을 보면 당시 동양에서 서양을 동경했지만 서양 역시 동양의 신비에 심취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는 우리나라 라디오 중에 LG전자의 전신인 금성사가 1960년대 초에 제작한 모델도 10여 대 갖고 있다. “텔레비전이 등장한 뒤 모두 쓰레기로 폐기처분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금성사 라디오가 보이면 손잡이가 부서져도 모두 사들이고 있어요. 1970년대 우리나라에서 만든 강아지나 쥐 인형 라디오도 갖고 있는데 당시 한국은 노동력이 풍부해 봉재산업에 강점이 있었기 때문에 쥐 인형에 라디오를 넣어 만들어 수출한 것으로 우리나라 경제 성장의 역사도 알 수 있어요.”

그가 소장하고 있는 소장품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 이 질문에 김 씨는 ‘보물’이자 ‘고물’이라는 답을 내놨다. “예전에 소장하고 있는 라디오를 수리하기 위해 전파상으로 가져가려고 길가에 몇 대를 내려놨는데, 고물 수집하는 할아버지가 수레를 끌고 가면서 버리는 것이면 실으라고 하더라고요. 그때 느꼈어요. 갖고 있는 라디오가 나한테는 엄청난 가치가 있는 보물이지만 모르는 사람은 고물일 뿐이라고. 지금도 지나가는 사람에게 1970년대 만들어진 라디오를 가져가라고 하면 미친 사람 취급할 겁니다. 가져가 봐야 분리수거해야 하는데 뭐 하러 가져가라고 하냐고요. 하하.”

김 씨에게 라디오란 마음을 설레게 하고 뜨겁게 하는 러브레터이자 하나의 예술품이다. “처음에는 단순히 라디오를 모아야겠다는 생각에서 시작했는데 지금은 라디오가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보여요. 1950년대 이전에 만들어진 라디오를 보면 명품 가구처럼 정말 아름답게 만들어 놓은 게 많아요.”

김 씨는 아날로그 예찬자다. “요즘 라디오는 세련된 모양과 디지털 음색을 갖고 있지만 1960년대 이전에 나온 진공관 라디오의 아날로그 소리가 더 좋아요. 진공관 라디오들은 1970년대 이후 만들어진 디지털 라디오와는 소리와 느낌이 완전히 달라요. 따뜻한 음색이 흘러나오죠. 된장국(아날로그)은 365일 먹어도 지겹지 않지만 햄버거나 스파게티(디지털)는 느끼해서 계속 먹지 못하잖아요. 아날로그와 디지털 음색은 음식에 조미료를 가득 넣은 것과 넣지 않은 것이라고 할까요.”

라디오 수집가이면서 작곡가로서 가장 멋진 경험을 한 것은 2년 전쯤이다. 라디오를 켜고 차를 운전해 집으로 가고 있는데 스피커에서 자신이 작곡한 가곡 ‘진주비빔밥’이 FM방송에서 흘러나온 것이다. “제가 작곡한 노래를 라디오에서 듣는 것은 라디오 마니아로 새로운 경험이었어요. 라디오를 그토록 사랑해 수집도 많이 했는데 제 노래가 방송돼 세상 사람들의 귀를 즐겁게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니 기분이 묘하더라고요. 뭔가 절정의 순간이라고 할까.”

알음알음으로 김 씨가 희귀 라디오를 소장하고 있다는 소문이 나면서 전국에서 전시회나 박물관을 짓자는 제안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에는 경남 고성군수가 직원 5명을 데리고 와 라디오박물관을 짓자며 사업을 제안했다. 제주도 관광상품개발자도 연락을 해 와 제주에 라디오박물관을 지어 관광코스에 넣으면 돈이 된다고 하기도 했고, 최근에는 대전의 한 과학관에서 상설전시를 하자는 제안도 해 왔다.

그러나 김 씨는 가능하면 자신이 나고 자란 마산(현 창원)을 위해 소장품을 사용하고 싶다고 했다. “우리 지역에 국화축제나 문신미술관, 마산 앞바다, 돝섬이 있는데 이런 문화콘텐츠와 엮어 전국 유일의 라디오박물관을 열면 마산이 옛 명성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요. 외부의 많은 제안이 있지만 나는 마산사람이고 기회가 주어지면 고향을 위해 소장품을 사용하고 싶어요.”


- 문화일보 2012.12.12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2121201033443177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