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1-10-25 13:28
새롭게 시작하는 (재)국립예술자료원
   http://chumnuri2010.blog.me/100121957342 [306]

보존되지 못한 자료는 사라진 기억이다. 한국에 근대 예술이 등장한지 100여년이 되었지만 체계적 수집과 보존의 부재로 파편화된 기억들을 담아내며 특히 관련인들 외에는 존재 여부조차 알 수 없었던 예술 자료들을 보존,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다. 이처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국립예술자료원은 1979년 5월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예술자료관으로 개관한 이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2010년 3월 신규 설립된 예술기록 전문 기관이다.

말 그대로 국내 유일의 예술 아카이브로 무용, 연극, 음악, 문학, 미술 등 전 분야의 예술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해 예술의 흔적을 담아내고 있다.
특별히 국립예술자료원은 제대로 된 예술사를 정립하고 예술가들의 대표적 작품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해주며 따라서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학문의 토대를 다지고자 한다.
또한 개별적인 각 기관들이 예술자료들을 아카이빙한 것들로 가지를 이룬다면 이 기관은 전체를 아우르는 부분을 책임질 것이다.

현재 서초동과 대학로에 분원을 지닌 이 기관은 서초동은 음악과 미술을 중심으로, 무용부문에서도 클래식 발레를 수용하며 대학로는 연극과 무용을 중심으로 특성화 되어 있다.
이렇게 분리한 이유는 서울의 강남과 강북을 커버할 수 있는 서비스 개념인데, 이용자들이 자료를 이용하기 쉽게 위치를 정한 것으로 원하면 자료를 배달해주는 서비스도 가능하다.
서초동에는 9만 점의 국내외 예술관련 자료를 서비스하는 문헌자료실, 5만점의 영상 음악 자료를 갖추고 있는 영상자료실, 세심하게 조율된 영상 음향 장비를 가지고 있는 영상감상실, 수많은 유명 원로들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기증자료실, 희귀 유성기 음반.비디오. DVD 자료의 원본필름 .공연 실황 기록 마스터 테이프.공연 현장 사진 원본 등을 보존하고 있는 보존자료실이 있다.
대학로에는 연극과 무용의 단행본과 정기간행물 등을 갖춘 예술자료실, 연극과 무용의 영상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영상감상실, 예술가와 예술 단체에게 무료로 제공되어 창작작업과 예술자원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열린공간 ‘通이 위치한다.

국립예술자료원이 제시하는 구체적 목표는 다양하다. 그 중 하나가 학예사 확보와 양성에 주력하는 것으로, 각 문화정책기관들이 수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다양한 부분들을 지원했으나 핵심부분이 체계화되지 못했고 무수한 자료들 중에서 선택을 할 수 있는 식견을 가진 학예사가 전무했다. 따라서 전문지식을 갖춘 학예사를 키워나가는 과정에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 발맞춰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자 함이다. 예술자료들은 대부분 정보검색이 어려우므로 자료검색의 크로스체크가 가능한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 목표인데, 전체기관들(민관 단체)이 함께 참여할 수 있고 자료를 컨텐츠화 할 수 있는 작업을 5년 설계로 예정하고 있다. 이는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그대로의 스토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밖에도 문화산업과 문화예술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예술가를 지원하고 행정상의 문제를 처리해주는 일을 담당하는 중심기관으로 자리잡고자 한다.

문화예술정보의 메카를 꿈꾸며 이들이 가지는 미래의 방향성은 예술가 혹은 기관들 스스로가 자료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기록정리와 이에 대한 의미부여를 해주고, 현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예술기록에 대한 의미부여도 담당할 것이다. 또한 개별 자료에 대한 중요성을 깨우치고 자료 보존과 정리 작업까지 수행할 것이며 2달에 한 번 씩 전시를 통해 공연의 연장과 활용까지도 계획하고 있어 예술의 전반적 확대가 기대된다. 끝으로 민간단체와 개인지원의 역할도 수행할 것이다.

신길수 원장, 장미진 사무국장을 주축으로 한 국립예술자료원측은 당대 예술의 가치를 인식, 전파하는 활동을 통해 예술 활동의 정수를 기록, 보존하며 앞으로의 미래에 새로운 예술이 탄생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큰 포부를 밝혔다.

국립예술자료원 웹사이트_ www.knaa.or.kr

글_ 장지원 한국춤문화자료원 연구위원
사진제공_ 국립예술자료원